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4월, 전 세계 무역 질서를 흔들 수 있는 한 가지 이슈가 있습니다.
바로 트럼프 전 대통령의 ‘상호관세 부과’ 선언입니다.
자국에 부과되는 관세만큼 상대국에 똑같이 ‘보복 관세’를 매기겠다는 전략이죠.
많은 언론이 이를 두고 “글로벌 무역전쟁 재점화”라며 우려하고 있지만,
오늘은 다른 시선으로 바라보려 합니다.
이 혼란 속에서 의외의 수수혜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시죠?
트럼프 상호 관세 “관세 전쟁 = 무조건 위기”는 아니다?
일반적으로 관세는 수출국 입장에서 악재로 작용합니다.
미국이 상호관세를 전면화할 경우, 한국의 자동차, 반도체, 철강 등은 직접적인 타격을 피하기 어렵습니다.
하지만 그 이면엔, 경쟁국의 타격으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는 수출기업도 분명 존재합니다.
예를 들어 중국이나 독일이 고관세를 맞아 미국 시장에서 밀려나면,
중간 지대에 있는 한국 업체들이 새로운 ‘틈새시장’을 선점할 수 있습니다.
이런 상황은 곧 수주 기회 확대로 연결될 수 있죠.
한국 산업계, 트럼프 상호 관세 수혜주 기대 분야
트럼프의 상호관세가 ‘전면전’이라면, 그 불똥은 미국 내 기업들에게도 튑니다.
미국 기업들은 높은 가격을 감수할 수 없기에, ‘덜 타깃된 국가’와의 거래를 모색할 가능성이 큽니다.
그렇다면,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B2B 파트너십을 통해 우회 수출, OEM 수주, 대체 공급자 역할을 하게 될 한국 기업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예상되는 들어온 트럼프 상호 관세 수혜주 산업군은 다음과 같습니다:
1.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 부품
• 중국산 제품이 높은 관세로 진입 장벽이 생기면,
• LG화학·삼성SDI·SK온 등의 소재 OEM 수주 확대 가능
• 美 전기차·IT업계의 한국 의존도 증가 예상
2. 조선 및 해양플랜트
• 미국이 중국산 기계 설비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경우
• 삼성중공업, 현대중공업 등 조선소 수주 반등 가능성
• 최근 북미 LNG 수요 증가에 따른 플랜트 수주 확대 가능성
3. 2차 협력업체 수혜
• 대기업 공급망이 흔들릴 경우, 중견·중소기업 납품 증가
• 전자 부품, 정밀 기계 가공, 로봇 모듈 분야는
미국 기업의 공급 다변화 전략에 의해 수혜 예상
반사이익 전략
단, 이 수혜주는 자동으로 생기는 게 아닙니다.
한국 기업들 역시 빠른 대응과 현지화 전략이 중요합니다.
• 미국 현지 법인 설립 또는 파트너십 체결
• 빠른 인증 획득 (FDA, UL 등)
• 북미 시장 전용 제품 라인 개발
• 현지 공급망 확보 및 물류 최적화
정부 차원의 외교 전략도 뒷받침돼야 합니다.
어렵다고 난리인 현재 경제 상황, 트럼프 상호 관세 이슈에 압도될 이유는 없습니다.
KOTRA, 무역협회, 산업부 등 유관 기관이 움직일 시기입니다.